• Research Article

    A quantitative assessment framework for regional drought response using the agricultural water deficit response index

    농업적 물부족 대응지수를 활용한 시군단위 가뭄 대응역량 평가

    Mun, Young-SikㆍNam, Won-HoㆍKim, Sangdan

    문영식, 남원호, 김상단

    Agricultural drought poses a growing threat to crop production and regional water systems. Despite its significance, regional disparities in drought impacts, damages, …

    농업가뭄의 발생은 작물 생육과 물관리 체계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지만, 가뭄 영향, 피해 및 대응역량에 대한 지역 간 차이는 충분히 규명되지 않았다. 본 …

    + READ MORE
    Agricultural drought poses a growing threat to crop production and regional water systems. Despite its significance, regional disparities in drought impacts, damages, and adaptive capacities remain inadequately understood. This study develops a quantitative framework—the Agricultural Water Deficit Response Index (AWDRI)—based on five standardized indicators to evaluate regional drought response capacities. Utilizing data from 167 administrative regions in South Korea, the study employ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K-means clustering to identify structural differences and classify regional response typologies. PCA results indicate that two principal components—representing physical and administrative dimensions—account for 56.7% of the total variance. Clustering analysis reveals three distinct regional response types: Balanced, Physical-Dominant, and Exceptional. Regions classified as Balanced generally exhibit low AWDRI scores, whereas Physical-Dominant regions experience moderate levels of drought damage despite considerable physical response capacity. These findings highlight that drought severity alone does not fully explain regional outcomes. Rather, the structural composition of drought response mechanisms plays a critical role. The AWDRI framework enables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and adaptive capacity, offering a scalable and transferable model for informing future drought policy and regional resilience planning.


    농업가뭄의 발생은 작물 생육과 물관리 체계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지만, 가뭄 영향, 피해 및 대응역량에 대한 지역 간 차이는 충분히 규명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5개의 표준화된 대응 지표를 기반으로 정량적 농업적 물부족 대응지수(Agricultural Water Deficit Response Index, AWDRI)를 개발하고자 한다. 167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지역별 가뭄 대응 구조의 이질성을 분석하였으며,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과 K-평균 군집분석(K-means clustering)을 적용하여 지역 유형을 분류하였다. PCA 결과, 두 개의 주성분이 전체 분산의 56.7%를 설명하였으며, 이는 가뭄 대응의 물리적 차원과 행정적 차원을 각각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을 통해 균형형(Balanced), 물리 중심형(Physical-Dominant), 예외형(Exceptional)의 3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균형형은 지역은 대체로 낮은 AWDRI 값을 보였으며, 물리 중심형 지역은 높은 물리적 대응 실적에도 불구하고 중간 수준의 피해를 경험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대응 구조의 이질성은 가뭄 영향 평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며, 농업적 물부족 피해와 적응역량에 대한 다차원적 평가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뭄으로 인한 피해 수준과 구조적 대응 특성을 통합함으로써 지역 가뭄의 상태를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향후 가뭄 관련 평가 및 정책 수립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A strategy to enhancing flood control capacity in the Seomjin River basin through Nature-based Solutions: focusing on channel widening and floodplain storage

    자연기반해법을 적용한 섬진강 유역의 홍수조절능력 제고 방안: 하도확폭 및 천변저류지를 중심으로

    Baek, Kyong OhㆍLee, Dong Yeol

    백경오, 이동열

    As extreme rainfall and flood events have become more frequent due to climate change, conventional flood management strategies centered on artificial structures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강우와 홍수 발생이 빈번해지면서, 기존 인공 구조물 중심의 홍수 대응 방식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자연기반해법(Nature-based Solutions, NbS)이 …

    + READ MORE
    As extreme rainfall and flood events have become more frequent due to climate change, conventional flood management strategies centered on artificial structures are increasingly facing limitations. In response, Nature-based Solutions (NbS) have emerged as viable alternatives. This study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effects of two structural NbS approaches—floodplain storage and channel widening. Using the 2020 flood event in the Seomjin River as a case study, a one-dimensional unsteady flow model was developed with HEC-RAS. The analysis of peak water level changes at seven main locations showed that floodplain storage reduced flood stages by up to 0.91 m, while channel widening achieved a maximum reduction of 0.29 m. Notably, water levels at high-risk sites that previously exceeded design thresholds were stabilized, although localized increases in flood levels were observed in some are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properly designed and applied, both methods can serve as effective NbS strategies for flood mitigation and provide practical insights for future flood management and river restoration planning.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강우와 홍수 발생이 빈번해지면서, 기존 인공 구조물 중심의 홍수 대응 방식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자연기반해법(Nature-based Solutions, NbS)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본 연구는 그 중 천변저류지(floodplain storage)와 하도 확폭(channel widening)의 적용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2020년 섬진강 본류의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HEC-RAS 1차원 수리모형을 구축하고, 7개 지점에서 첨두 수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천변저류지는 최대 0.91 m, 하도 확폭은 최대 0.29 m의 수위 저감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일부 위험 지점에서는 기준 수위를 초과하던 수위가 안정화되는 성과가 나타났으며, 국지적 수위 상승과 같은 역효과도 일부 구간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 기법이 적절한 조건과 설계 하에 효과적인 NbS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홍수 대응 및 하천 복원 계획 수립에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Estimation of carbon storage through constructed wetland operated with STP effluent

    하수처리장 방류수 유입 인공습지를 통한 탄소 저장량 산정

    Hong, JinㆍGil, Kyungik

    홍진, 길경익

    As greenhouse gas emissions have caused severe climate change, numerous problems have occurred. Among greenhouse gases, the study focused on CO2 …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심각한 기후 변화가 발생하면서 수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 특히 탄소에 인공 습지를 통한 탄소를 저장하고자 …

    + READ MORE
    As greenhouse gas emissions have caused severe climate change, numerous problems have occurred. Among greenhouse gases, the study focused on CO2, especially carbon, and tried to store carbon through and tried to store carbon through constructed wetland. The study tried to measure the total amount of carbon and separate the total carbon into two types, soil organic carbon (SOC) and plant biomass. The constructed wetland has two types of modules, one is a vertical flow surface wetland (VFS) and the other is a horizontal flow surface wetland (HFS). This study planted Typha orientali C. on the vertical flow wetland and Phragmite australis on the horizontal flow wetland. To store carbon, this study inflowed effluent from sewage treatment plant into the constructed wetland (CW). During the operation days, the amount of soil carbon and vegetation carbon storage was measured from the constructed wetland.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seeking much more effective constructed wetland with carbon storage, researching the previous study on biomass, and adapting the result to SOC from the constructed wetland. Planting Typha orientali C. on the vertical flow wetland and Phragmite australis on the horizontal flow wetland, carbon storage of each wetland had 25.57 kg/ha/yr and 29.53 kg/ha/yr. Yet, in VFW carbon storage more effective with Sedum takeminese. Since the constructed wetland was operated by effluent from sewage treatment plant, to operate the wetland with ease, undergroundization sewage treatment plants in Korea, apply the most effective constructed wetland on the land where sewage treatment plants were located then 64,937ton/ha of carbon could be stored per year.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심각한 기후 변화가 발생하면서 수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 특히 탄소에 인공 습지를 통한 탄소를 저장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인공 습지 내의 총 탄소를 토양 유기 탄소(SOC)와 식물 바이오매스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리하여 산정을 하고자 하였다. 인공 습지에는 수직 흐름형 습지(VFS)와 수평흐름형 습지(HFS)라는 두 가지 모듈로 이루어져 운전되었다. 수직흐름형 습지에 Typha Orientali C. 를 수평흐름형 습지에 Phragmite australis를 식재하여 바이오매스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탄소를 저장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의 폐수를 인공 습지로 유입시켰다. 운영 기간 동안 인공 습지에서 토양 내 유기 탄소와 식생 탄소 저장량을 측정하므로 탄소저장에 효율적인 인공 습지를 찾고자 하였다. 바이오매스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하여 다른 식생의 바이오매스를 인공 습지에서 SOC에 적용하였다. 운영 기간 내의 SOC 저장량은 9.8 kg/m2와 9.91 kg/m2였습니다. 수직흐름형 습지에는 Typha Orientali C. 를, 수평흐름형 습지에는 Phragmite australis를 식재하였을 경우 각 습지의 탄소 저장량은 연간 25.57 kg/ha와 29.53 kg/ha으로 산정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한 Sedum takeminese의 탄소 저장량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인공 습지는 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방류수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한국의 지하화 된 하수처리장은 하수처리장이 위치한 땅에 가장 효과적으로 인공 습지를 적용하면 연간 64,937 ton/ha의 탄소를 저장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discharge in the Paldang Lake water system: focusing on the sewage treatment plant located in the inflow tributary

    팔당호 수계 내 유기물질의 유출 특성 분석: 유입 지천에 위치한 하수처리장을 중심으로

    Lee, BogyeonㆍGil, Kyungik

    이보견, 길경익

    Paldang Lake is a major water source that supplies approximately 78 million tons of tap water to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

    팔당호는 서울 및 수도권에 하루 약 7,800만톤의 상수원수를 공급하는 주요한 수원이다. 팔당호로 유입되는 물의 약 55%가 남한강에 해당하며, 1.6%는 경안천에서 유입된다. 본 …

    + READ MORE
    Paldang Lake is a major water source that supplies approximately 78 million tons of tap water to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per day. Approximately 55% of the water flowing into Paldang Lake comes from the Namhan River, and 1.6% comes from the Gyeongancheon Stream.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discharge based on total organic carbon (TOC) in the Namhangang River and Gyeongancheon Stream.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organic matter discharge were investigated with a focus on sewage treatment plants located near the target water system. A total of 14 monitoring sessions were conducted. The concentrations of biodegradable (labile) and non-biodegradable (Refractory) organic matter in the influent and effluent of sewage treatment plants and water systems near the three sewage treatment plants in the study area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organic matter discharge characteristics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s and river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ncentration analysis. This confirmed that biodegradable organic matter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95% through sewage treatment.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14 monitoring sessions confirmed that the variability in the removal rate was also small, which confirmed that biodegradable organic substances can be stably removed using the current sewage treatment method. In the case of non-biodegradable organic substances, the average removal rate was approximately 63%. In other words, the removal rate of non-biodegradable organic substances is relatively low in sewage treatment plants wher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are the main process, but it was confirmed that more than 50% was removed through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within the process. Accordinglhy it was concluded that management of non-biodegradable organic substances is necessary in order to manage organic substances present in water system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MBR (Membrane Bioreactor) method, which easily removes particulate organic substances through membrane separation, would be effective in managing non-biodegradable organic substances.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managing organic substances in sewage treatment plants and water systems.


    팔당호는 서울 및 수도권에 하루 약 7,800만톤의 상수원수를 공급하는 주요한 수원이다. 팔당호로 유입되는 물의 약 55%가 남한강에 해당하며, 1.6%는 경안천에서 유입된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과 경안천에서의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 기반 유기물질의 유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대상 수계 인근에 위치한 하수처리장을 중심으로 유기물질의 유출 특성 및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총 14회의 모니터링이 진행되었다. 하수처리장 유입수 및 방류수, 하수처리장 인근 수계에서의 생분해성,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농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농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수처리장 및 하천에서의 유기물질 유출 특성의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하수처리장을 통해 생분해성 유기물질이 약 95%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4회의 모니터링 결과 제거율의 편차 또한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생분해성 유기물질의 경우 현재 하수 처리 공법을 통해 안정적으로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경우 평균 약 63% 정도의 제거율을 나타냈다. 즉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경우 미생물을 통해 생물학적 처리 공정이 주요한 하수처리장에서 제거율이 상대적으로 낮으나, 공정 내 침전, 여과 등을 통해 50%이상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수계 내 존재하는 유기물질 관리를 위해선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관리가 필요함을 파악하였으며, 하수처리장 공법별로 보았을 때, 난분해성 유기물질 관리 시 막분리를 통한 입자성 유기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MBR (Membrane Bioreactor)공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하수처리장과 수계 내 유기물질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domestic drought Impact: a case study based on people affected by drought in Republic of Korea

    생활 가뭄 영향의 사회경제적 결정 요인 분석: 비상 급수 인구수를 중심으로

    Cha, HoyoungㆍJun, ChanghyunㆍBaik, JongjinㆍKim, MingonㆍLee, Yookyung

    차호영, 전창현, 백종진, 김민곤, 이유경

    This study analyzes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influencing drought damage, with a particular focus on identifying those affecting domestic drought in Republic of …

    본 연구는 가뭄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분석하고 특히 대한민국의 생활 가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도출하며, 향후 생활 가뭄 대응력을 …

    + READ MORE
    This study analyzes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influencing drought damage, with a particular focus on identifying those affecting domestic drought in Republic of Korea. Ultimately, it proposes policy implications to enhance response strategies and resilience to domestic drought.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reviews existing literature to establish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drought vulnerability. It then employ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feature importance to prioritize these determinants based on open data provided by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The feature importance is conducted using Multi-Layer Perceptron (MLP) and XGBoost Algorithm.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imary socioeconomic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number of individuals requiring emergency water supply at the national level include percentage of elderly population, percentage of agricultural workers, percentage of population under 5 years old, and percentage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sparities in regional development, the aging of rural communities, and the heightened vulnerability of at-risk populations contribute significantly to drought susceptibility and exposure. Given the rapid aging of rural populations,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sustained institutional interventions to enhanc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mong elderly population, reduce the exposure of vulnerable populations to drought and related hazards, and implement protective policies to safeguard these at-risk groups.


    본 연구는 가뭄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분석하고 특히 대한민국의 생활 가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도출하며, 향후 생활 가뭄 대응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검토를 통해 가뭄 피해의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선별하고, 국가통계포털(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과 중요도 분석을 통해 주요 요인의 우선순위를 밝힌다. 중요도 분석은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 MLP)과 엑스지부스트 알고리즘(XGBoost Algorithm)을 활용한다. 분석 결과, 전국적으로 비상 급수 인구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회경제적 요인은 고령인구 비율, 농업 종사자 비율, 5세 이하 인구 비율, 그리고 기초생활 수급자 비율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발전의 불균형, 농촌사회의 고령화, 그리고 취약계층의 재해 및 재난 노출 취약성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고령화를 고려하여 고령인구의 재난 대응력 향상을 위한 제도적 울타리 강화를 중시한다. 또한, 지역 내 취약계층의 재해 및 재난 노출도를 저감하고 이들을 위한 보호 정책 마련의 시급성과 지속성을 강조한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The effects of downstream channel cross-sectional changes on the upstream stage-discharge relation

    하류 하천 단면변화가 상류 수위-유량 관계에 미치는 영향

    Kang, Tae-HoㆍKim, YeonsuㆍNoh, JoonwooㆍOh, Sung-ryul

    강태호, 김연수, 노준우, 오성렬

    The change of a stage-discharge relation curve due to the effect of the downstream cross-sectional changes such as weir operation is reviewed. …

    하천의 유량 산정에 사용되는 수위-유량 관계 곡선에 대하여 가동보 등으로 인한 하류하천 단변변화 영향을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관측 지점에서의 하상과 조도계수 변화 …

    + READ MORE
    The change of a stage-discharge relation curve due to the effect of the downstream cross-sectional changes such as weir operation is reviewed. Studies has mostly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temporal environment changes or the river cross section changes for the target location of a relation curve. However, it has rarely been studied to consider the effect of downstream riverbed changes to the upstream stage-discharge relation curve. We also found that the analysis methods developed to separate the relation curve based on the stage (river level) value itself could not describe the complex changes of the relation curve. Therefore, we first developed a analysis tool assuming dynamic stage-discharge relation changes via using machine learning as a knowledge matching tool, and applied the tool to analyze the stage-discharge relation of the period with downstream riverbed changes due to weir operation.


    하천의 유량 산정에 사용되는 수위-유량 관계 곡선에 대하여 가동보 등으로 인한 하류하천 단변변화 영향을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관측 지점에서의 하상과 조도계수 변화 등으로 인한 수위-유량 관계 영향을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수km 범위 하류에서의 변화가 상류 수위-유량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위-유량 관계식의 구간 분할 등 기존의 분석 기술로는 하류 하상변화에 따른 복잡한 수위-유량 관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에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류에서의 하상 변화가 상류 수위-유량 관계에 줄 수 있는 영향을 해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실제 가동보의 운영으로 하류 하천 단면의 동적 변화가 있었던 기간에 대해 5 km 상류에서의 수위-유량 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Large-scale experiment and 1D numerical modeling-based validation on estimation methods for flow resistance coefficient of vegetated floodplain

    홍수터 식생의 흐름저항계수 추정방법에 대한 실규모 실험 및 1차원 수치모의 기반 검증

    Ji, UnㆍPark, SechanㆍRyu, Jiwon

    지운, 박세찬, 류지원

    This study analyzed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flow resistance coefficient for an asymmetric compound channel with a vegetative floodplain based on …

    본 연구에서는 복단면 수로의 홍수터에 식생이 분포하는 경우 흐름저항계수 추정 방법에 대해 실규모 실험과 1차원 수치모의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구간 조도계수 및 복합 …

    + READ MORE
    This study analyzed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flow resistance coefficient for an asymmetric compound channel with a vegetative floodplain based on a large-scale experiment and on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The accuracy of the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ing prediction of the backwater profile according to the methods for calculating the flow resistance coefficient of the vegetated channel, such as the bulk and composite roughness coefficients, was evaluated. A relatively simple cylinder-type model-vegetation was applied to the floodplain, considering the complex phenomen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hannel geometry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of the vegetation distributed in the floodplain. The bulk roughness coefficient was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data in the large-scale experiment. In the case of the composite roughness coefficient, the vegetated floodplain section along the cross-sectional wetted perimeter and the section without vegetation were divided and inputted to calculate the composite roughness coefficient in the one-dimensional backwater profile calcula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bulk roughness coefficient, it was found that the agreement with the measured water levels was 98.2%. In the case of the composite roughness coefficient, the agreement between the predicted and the measured water levels varied from 42.3% to 98.3% depending on the drag coefficient input of the momentum-based flow resistance coefficient model for vegetative channels.


    본 연구에서는 복단면 수로의 홍수터에 식생이 분포하는 경우 흐름저항계수 추정 방법에 대해 실규모 실험과 1차원 수치모의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구간 조도계수 및 복합 조도계수와 같이 홍수터 식생의 흐름저항계수를 산정하는 방법에 따라 1차원 수치모델링의 수면곡선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복단면 수로의 기하하적 단면 형태에 따른 영향과 홍수터에 분포하는 식생으로 인한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홍수터 식생은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실린더 모형식생을 적용하였다. 구간 조도계수는 실규모 실험의 실측 결과를 기반으로 산정하였으며, 복합 조도계수의 경우 횡단면 윤변을 따라 식생이 분포하는 홍수터 구간과 식생이 없는 하도 구간을 구분하여 각각의 조도계수를 입력함으로써 1차원 수면곡선 계산에서 단면별 복합 조도계수가 산정되도록 하였다. 실규모 홍수터 식생 하도를 대상으로 구간 조도계수를 적용한 수면곡선 계산을 수행한 결과, 실측 수위와의 일치도가 98.2%인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 조도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의 경우 운동량 기반 식생 흐름저항계수 추정 모형의 항력계수 입력에 따라 1차원 수면곡선 계산 결과와 실측 수위의 일치도가 42.3%에서 98.3%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Nankai Trough tsunami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난카이 트러프 지진해일의 한반도 남해안 영향 분석

    Myeong Hwan Jho, Jin Kim, Hyung Suk Kim, Gun Hyeong Kim

    조명환, 김진, 김형석, 김건형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a Nankai Trough tsunami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a numerical simulation …

    본 연구에서는 일본 난카이 트러프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 규모(Mw 9.0급) 지진해일의 전파 수치모의를 통하여 난카이 트러프 지진해일이 우리나라 남해안에 미치는 영향을 …

    + READ MOR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a Nankai Trough tsunami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a numerical simulation of the propagation of a maximum-scale (Mw 9.0-class) earthquake-tsunami. For this analysis, the study utilized 11 tsunami scenarios presented by the Cabinet Office of Japan and a numerical model based on Shallow Water Equations. The Nankai Trough tsunami is largely shielded by Japan's Kyushu Island, but it was confirmed that refracted and diffracted waves reach the southern coast approximately 200-250 minutes after the earthquake occurs. The maximum tsunami height reached up to 0.6m in certain areas where energy is topographically focused, such as Hwasun Port on the south side of Jeju. The tsunami-induced current velocity tended to increase in narrow channels between islands, reaching a maximum of about 0.4 m/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the Nankai Trough tsunami persists for over 12 hours after the earthquake.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while the first wave was the highest in terms of tsunami height, the current velocity was stronger in the second or third waves. This suggests the need for response criteria based on current velocity for maritime activities, such as ship navigation and port operation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disaster response system that is centered on tsunami height.


    본 연구에서는 일본 난카이 트러프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 규모(Mw 9.0급) 지진해일의 전파 수치모의를 통하여 난카이 트러프 지진해일이 우리나라 남해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내각부가 제시한 11개의 지진해일 시나리오와 천수방정식 기반의 수치 모델을 사용하였다. 난카이 트러프 지진해일은 일본 큐슈섬에 의해 대부분 차폐되나, 굴절 및 회절된 해일파가 지진해일 발생 약 200~250분 후에 남해안에 도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대 해일고는 제주 남부 화순항과 같이 지형적으로 에너지가 집중되는 일부 지역에서 최대 0.6 m 수준으로 나타났고, 지진해일에 의한 유속은 섬과 섬 사이의 좁은 수로에서 빨라지는 경향을 보이며 최대 0.4 m/s 정도로 나타났다. 난카이 트러프 지진해일의 영향은 지진발생 후 약 12시간 이상 지속하는 것이 확인 되었으며, 해일고의 경우는 첫 번째 해일이 가장 높지만, 유속은 두 번째나 세 번째 해일에서 더 강하게 발생하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는 해일고 중심의 재난 대응 체계 뿐만 아니라, 선박 운항 및 항만 운영 등 해상 활동에 대한 유속 기반의 대응 기준이 필요성이 제기된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 우수학생논문상

    Data-driven analysis of flood response capacity and upstream effects of pre-drainage: a case study in the West Nakdong River

    사전배수에 따른 하구부 하천 홍수 대응능력 및 상류 영향에 대한 자료 기반 분석: 서낙동강을 중심으로

    Jung, SungdoㆍNam, Seon WooㆍKim, YoonseokㆍKim, Minseok

    정성도, 남선우, 김윤석, 김민석

    This study presents a data-based method to assess the effects of pre-drainage on flood response capacity and upstream conditions, and applies it …

    본 연구는 사전배수가 홍수 대응 및 상류 구간에 미치는 영향을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검토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서낙동강 하구부에 위치한 녹산배수펌프장에 적용하였다. …

    + READ MORE
    This study presents a data-based method to assess the effects of pre-drainage on flood response capacity and upstream conditions, and applies it to the Noksan drainage pumping station located in the estuarine section of the West Nakdong River. The analysis of upstream effects focused on inflow from upstream induced by pumping and on surface water-groundwater interactions. For the assessment of flood response capacity, records of water level, rainfall, and pumping discharge were integrated to empirically approx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mount and potential water level rise, with a 95% prediction interval estimated to represent associated uncertainty. The analysis indicated that, for a cumulative rainfall of approximately 150 mm, there is a 97.5% probability that the maximum capacity secured through pre-drainage would be sufficient to prevent inundation. Inflow rate from upstream, caused by water level drawdown during pumping, was estimated to account for 11-17% of the total pumping rate, constituting a factor that could reduce pumping efficiency. The analysis of surface water-groundwater interactions confirmed hydraulic connectivity between the West Nakdong River and the surrounding aquifer, and revealed that pre-drainage could temporarily convert the river from a losing stream to a gaining strea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artificial water level drawdown may occur over a spatially extensive area, with potential implications not only for surface water quantity but also for the quality of both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as well as for aquatic ecosystems.


    본 연구는 사전배수가 홍수 대응 및 상류 구간에 미치는 영향을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검토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서낙동강 하구부에 위치한 녹산배수펌프장에 적용하였다. 상류 영향 분석에서는 펌프토출에 따른 상류유입과 표면수-지하수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홍수 대응능력 평가에서는 수위, 강우, 펌프토출량 기록을 종합하여 누적강우량과 잠재수위증가량의 관계를 자료 기반으로 근사하고, 95% 예측구간을 산정하여 불확실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누적강우량이 약 150 mm일 때 97.5%의 확률로 사전배수로 확보한 최대 용량이 침수 방지에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펌프토출로 인한 수위 저하에 따라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량은 토출량의 11~17%로 산정되었으며, 이는 배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표면수-지하수 상호작용 분석 결과, 서낙동강과 주변 대수층 간의 수리학적 연결성이 확인되었고, 사전배수 시 서낙동강이 일시적으로 손실하천에서 유입하천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이는 인위적인 수위저감의 영향이 광범위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지표수 및 지하수의 수량뿐만 아니라 수질과 생태계에도 잠재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COLLAPSE
    31 August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