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
Development of grid-based rainfall scenarios using rain gauge data in Seoul: focusing on convective rainfall
지상 우량계 자료를 활용한 격자 형태의 강우 시나리오 생성 방법 개발: 서울특별시 내 대류성 강우를 중심으로
-
Cha, HoyoungㆍJun, ChanghyunㆍBaik, JongjinㆍKim, Hyeon-Joon
차호영, 전창현, 백종진, 김현준
- This study proposes a machine learning model to develop grid-based rainfall scenario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convective rainfall, using rain gauge and radar …
본 연구에서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특별시 내 위치한 우량계와 레이더를 통해 관측된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대류성 강우의 특징을 반영한 격자 형태의 강우 시나리오를 …
- This study proposes a machine learning model to develop grid-based rainfall scenario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convective rainfall, using rain gauge and radar data from Seoul, Republic of Korea, during 2019-2022. Rainfall data were separated into independent rainstorm events based on specific conditions (IETD: 2 hours, threshold: 0.5 mm) to identify convective rainfall as defined in prior studies. Radar data were denoised using Gaussian filtering, and the spatial extent of convective rainfall was defined by selecting the 36 grid points nearest to the rain gauge. For training, input data included rain gauge, their latitude and longitude, the distance between rain gauge and radar grid, and temporal variables. Output data comprised 36 nearest radar grids to the rain gauge location in Seoul. Machine learning models employed were Gradient Boosting, Random Forest, Extra Trees, and Multi-Layer Perceptron. The models achieved satisfactory performance, wi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generally exceeding 0.7 when compared to rainfall intensity observed by radar highlighting their positive correlation with observed rainfall and the relatively lower MAE and RMSE of the Multi-Layer Perceptron compared to other models. The rainfall scenarios tended to underestimate rainfall intensity and showed spatial similarity to radar data, with normalized cross-correlation between 0.2 and 0.4. The methodology was deemed applicable as a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for convective rainfall in urban watersheds, particularly in data-sparse environments with information about rain gauge.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특별시 내 위치한 우량계와 레이더를 통해 관측된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대류성 강우의 특징을 반영한 격자 형태의 강우 시나리오를 제작할 수 있는 머신러닝 모형을 제안하였다. 우량계에서 관측한 강우 자료는 특정 조건(IETD: 2시간, 절단값: 0.5 mm)에 따라 독립 호우사상으로 분리하였다. 독립 호우사상은 대류성 강우가 발생한 시기를 구분하기 위해 활용된다. 레이더 합성장은 가우시안 필터링을 활용하여 잡음을 제거한 이후, 우량계 중심으로 가까운 36개의 격자 자료를 대류성 강우의 공간적 크기로 정의하여 구분하였다. 이후, 머신러닝 구축을 위해 활용된 학습 자료는 입력자료로 우량계에서 관측된 강우 자료, 우량계의 위도와 경도, 우량계와 레이더 중심과의 거리 차이, 시간 관련 변수를, 출력자료로 우량계 주변의 36개 강우 격자 자료로 구성하였다. 구축된 자료는 회귀모형의 머신러닝에 적용하였으며, 활용된 머신러닝은 그래디언트 부스팅, 랜덤 포레스트, 엑스트라 트리, 다층 퍼셉트론이다. 분석 결과, 4개의 머신러닝은 레이더 합성장에서 관측된 강우강도와 서로 비교하면 평가 지표인 피어슨 상관계수가 전반적으로 0.7 이상이지만, 다층 퍼셉트론은 다른 모델에 비해 MAE와 RMSE가 작다는 점을 통해 준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었다. 강우강도와의 유사성을 비교하면, 제작된 강우 시나리오는 우량계와 레이더보다 과소 추정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강우 시나리오와 레이더 자료와의 공간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보면, 정규화된 상관계수는 0.2에서 0.4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은 도시에 특화된 소규모 유역의 대류성 강우에 대한 강우 자료의 공간 보간 방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방법론은 우량계 중심의 정보만 있다면, 우량계 주변 격자 형태의 시나리오를 추정할 수 있다.
-
Development of grid-based rainfall scenarios using rain gauge data in Seoul: focusing on convective rainfall
-
Research Article
-
A study of multi parameter optimization for rainfall-runoff model (monthly runoff assessment tool) using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 기반의 강우-유출모형(M-RAT) 매개변수 최적화 기법
-
Yoo, JaeEunㆍJeung, SeJinㆍKim, ByungSikㆍJung, SeungKwon
유재은, 정세진, 김병식, 정승권
- Recently, the flow rate has been decreased from the reservoirs and small streams due to climate change. The reduction of stream flow …
최근 기후변화, 기후변동으로 인해 저수지 및 소하천의 유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하천 유량 감소는 건천화 현상을 발생시켜 하천의 생태계 파괴, 자정기능 …
- Recently, the flow rate has been decreased from the reservoirs and small streams due to climate change. The reduction of stream flow cause the stream desiccation and lead to the various adverse effects such as ecosystem degradation and loss of self-purification capacity. In watersheds where have low flow due to drought, considering the runoff characteristics is important. The runoff of stream can be estimated and predicted by the simulations using rainfall-runoff model such as M-RAT (Monthly Runoff Assessment Tool) model is a widely-used tool. Based on a simple monthly water-budget equation, M-RAT estimates monthly runoff through the analysis. With the M-RAT model, the accuracy of the runoff simulations show the improved results by calibrating the model parameters using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data from the watershed. This study proposed the parameter optimization method using the machine learning models to calibrate and optimize the M-RAT model parameters for 13 watersheds, and simulated monthly runoff using the optimized parameters. The proposed methods showed the improved accuracy compared to the traditional parameter optimization methods.
- COLLAPSE
최근 기후변화, 기후변동으로 인해 저수지 및 소하천의 유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하천 유량 감소는 건천화 현상을 발생시켜 하천의 생태계 파괴, 자정기능 상실, 친수 기능 상실 등 각종 부작용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가뭄으로 인해 하천 및 저수지에 저유량이 유지되는 유역은 유출량의 특성 파악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강우-유출 모형을 활용한 유출량 모의를 통해 하천의 유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 중 M-RAT (Monthly Runoff Assessment Tool) 모형은 일반적이고 간단한 월 물수지 방정식을 기반으로 유출 분석을 통해 월 유출량을 추정한다. M-RAT 모형을 활용한 유출량 모의 시 하천 유역의 수문 및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모형의 매개변수를 보정하는 과정을 통해 모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13개 유역을 대상으로 M-RAT 모형의 매개변수를 검보정 및 최적화하고, 획득한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M-RAT 모형을 통한 월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모형 성능 검증을 위해 미호강, 합천댐, 홍천강 3개 유역에 적용하여 정확성을 검토한 결과, 머신러닝 기반의 매개변수 최적화 기법을 활용했을 때 기존에 수행된 기법에 비해 개선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A study of multi parameter optimization for rainfall-runoff model (monthly runoff assessment tool) using machine learning
-
Research Article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oil organic carbon model considering physical hydrological processes
물리적 수문과정을 고려한 토양 탄소 분석 모형의 개발 및 적용
-
Yeon, MinhoㆍLee, GihaㆍWoo, Dong Kook
연민호, 이기하, 우동국
- Human activitie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greenhouse gas emissions, accelerating global warming and intensifying the climate crisis. In this context, soil serves as …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지구온난화가 급증하면서 지구는 기후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로 인해 토양의 탄소저장고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나, 무분별한 개발 …
- Human activitie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greenhouse gas emissions, accelerating global warming and intensifying the climate crisis. In this context, soil serves as a vital carbon sink; however, its functionality is diminishing due to indiscriminate development. Particularly, soil erosion leads to the loss of topsoil, which is rich in soil organic carbon, thus altering carbon dynamics within watershed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del for estimating soil organic carbon by integrating a biogeochemical soil carbon model with a physically-based soil erosion model that accounts for the physical processes of soil erosion. This model was evaluated for its applicability in domestic watersheds, demonstrating excellent performance in runoff and sedimentation simulations with NSE, RSR, PBIAS, and PR values of 0.73, 0.27, -14.6, 1.14 and 0.69, 0.32, 2.6, 1.11, respectively. The soil respiration simulation exhibited good performance across most periods, and the results for soil carbon dioxide flux by land use type were consistent with observations from previous research. Consequently, this model can serve as an effective analytical tool for developing soil management policies, such as managing soil erosion risk areas and conducting preliminary investigations to establish carbon sinks.
- COLLAPSE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지구온난화가 급증하면서 지구는 기후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로 인해 토양의 탄소저장고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나, 무분별한 개발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제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특히, 토양 침식은 토양의 최상층에 밀집된 토양 유기 탄소의 손실을 초래하여 유역 내 토양 유기 탄소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물리적 수문과정에 따른 토양 침식을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토양 유기 탄소 추정이 필요하다. 토양 유기 탄소 추정을 위해 다양한 모형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대다수 모형은 토양 침식을 고려하지 않거나 토양 침식의 물리적 메커니즘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모형의 결과가 과대 또는 과소추정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지화학적 토양 탄소 모형과 토양 침식의 물리적 과정을 고려하는 물리적 기반의 토양침식모형을 결합한 토양 탄소 분석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국내 유역에 적용하여 해당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모형의 매개변수 보정 이후 검증 결과, 유출량은 NSE, RSR, PBIAS, PR에서 각각 0.73, 0.27, -14.6, 1.14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유사유출량의 결과도 각각 0.69, 0.32, 2.6, 1.11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토양 호흡 모의 결과에서는 일부 시기를 제외한 모든 구간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토지이용별 토양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결과에서도 선행 연구가 제시한 관측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당 모형은 토양 침식 위험지역 관리와 탄소흡수원 설치 예비 조사와 같은 토양관리정책 수립 시 분석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oil organic carbon model considering physical hydrological processes
-
Research Article
-
Analysis of changes in probable rainfall for annual maximum and annual exceedance series based on rainfall temporal resolution
강우 시간해상도에 따른 연최대치, 연초과치 계열 확률강우량 변화 분석
-
Kim, SeokhyeonㆍKang, NaraeㆍYoon, JungsooㆍHwang, Seokhwan
김석현, 강나래, 윤정수, 황석환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anges in probable rainfall for annual maximum and annual exceedance series based on the temporal resolution of …
본 연구는 강우 자료의 시간해상도에 따른 연최대치, 연초과치 계열의 확률강우량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개 지점에 대하여 분단위, 시간단위 강우량을 수집하였으며 …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anges in probable rainfall for annual maximum and annual exceedance series based on the temporal resolution of rainfall data. To achieve this, minute-based and hour-based rainfall data were collected for six locations, and annual maximum and annual exceedance series were constructed to estimate probable rainfall. In probable rainfall estimation, changes due to temporal resolution are generally addressed by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fixed time and arbitrary time. The comparison results from the hydrological data series constructed in this study showed that for both annual exceedance and annual maximum series, the differences decreased as the duration increased, exhibiting trends similar to the fixed time-to-arbitrary time conversion factors. However, in certain locations or durations, the results based on minute-level data were unexpectedly smaller. Additionally, differences appeared within the same location depending on the series construction method. This phenomenon occurred not only due to changes in the mean but also changes in the distribution and standard deviation caused by variations in rainfall events. Even when the mean increases, the results at the same frequency can be lower if the standard deviation decreases. Since changes in the standard deviation have a larger impact on probable rainfall estimation than changes in the mean, thi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utilizing minute-based rainfall data.
- COLLAPSE
본 연구는 강우 자료의 시간해상도에 따른 연최대치, 연초과치 계열의 확률강우량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개 지점에 대하여 분단위, 시간단위 강우량을 수집하였으며 연최대치 계열과 연초과치 계열을 구축하여 확률강우량 산정을 수행하였다. 확률강우량 산정에서 시간해상도에 따른 변화는 일반적으로 고정시간-임의시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다. 본 연구에서 수문자료 계열 구축 결과를 통해 비교한 결과도, 연초과치, 연최대치 모두 지속시간이 증가할수록 차이가 감소하였으며, 이는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하지만, 확률강우량 산정 시 일부 지점 혹은 지속시간에서 오히려 분단위 자료를 통한 산정 결과가 더 작게 나타났으며, 동일 지점에서도 계열 구축 방법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는 단순 평균의 변화뿐만 아니라, 강우사상별 변화에 따른 분포 및 표준편차에 변화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평균이 증가하더라도, 표준편차가 감소할 경우 동일 빈도에서 산정 결과가 낮게 나타나게 된다. 표준편차의 변화는 확률강우량 산정 시 평균의 변화보다 산정 결과에 더 큰 차이를 나타나기 때문에 이는 추후 분단위 강우자료를 활용할 때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
Analysis of changes in probable rainfall for annual maximum and annual exceedance series based on rainfall temporal resolution
-
Research Article
-
Uncertainty in projections of future runoff depending on hydrological model calibration data
수문모형 보정자료에 따른 미래 유출량 추정의 불확실성
-
Kim, Jin HyuckㆍChung, Eun-Sung
김진혁, 정은성
-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length of calibration data and hydrological conditions in hydrological models on the uncertainty of future …
본 연구는 수문모형 보정자료 양(길이)과 수문조건이 미래 유출량 추정의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지역은 안동댐 상류로 선정하였으며, 1990년부터 2023년까지의 …
-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length of calibration data and hydrological conditions in hydrological models on the uncertainty of future runoff projections. For this purpose, the upstream area of the Andong Dam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Calibration data lengths ranging from 1 to 10 years and hydrological conditions (dry, normal, and wet) were set using observed inflow data from 1990 to 2023. Future climate data for runoff projections were constructed using 20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6(CMIP)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s and Shared Socioeconomic Pathway (SSP) scenarios (SSP2-4.5, SSP3-7.0, and SSP5-8.5), and bias corre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quantile mapping method. Subsequently, the uncertainty of the projected future runoff was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OVA) to evaluate the contributions of SSP, GCM, calibration data length, and hydrological conditions of the calibration dat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ydrological conditions of the calibration data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validation performance of the hydrological model, while the influence of the calibration data length was relatively insignificant. The uncertainty in future runoff projections was mainly due to the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s, contributing more than 70%, and the influence of the hydrological model calibration data varied depending on the season and period. The uncertainty due to the hydrological model calibration data contributed significantly (over 8%) during spring, when runoff is relatively low, and generally had a large impact during months with low runoff.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that can contribute to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future water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using hydrological models.
- COLLAPSE
본 연구는 수문모형 보정자료 양(길이)과 수문조건이 미래 유출량 추정의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지역은 안동댐 상류로 선정하였으며, 1990년부터 2023년까지의 관측 유입량 자료를 이용해 1년~10년의 보정자료 길이와 수문조건(건조, 평년, 습윤)을 설정하였다. 미래 유출량 추정을 위한 미래 기후자료는 20개의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6(CMIP)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와 Shared Socioeconomic Pathway (SSP) 시나리오(SSP2-4.5, SSP3-7.0, SSP5-8.5)를 이용해 구축하였으며, 분위사상법(Quantile Mapping Method)을 이용해 편의보정을 수행하였다. 추정된 미래 유출량의 불확실성은 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이용해 SSP, GCM, 보정자료 길이, 보정자료 수문조건의 기여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문모형 보정자료의 수문조건은 수문모형 검증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며, 보정자료 길이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미비하였다. 미래 유출량 추정의 불확실성은 GCM에 의한 기여율이 70% 이상으로 가장 컸으며 수문모형 보정자료의 영향은 계절 및 기간에 따라 변동하였다. 수문모형 보정자료에 의한 불확실성은 상대적으로 유출량이 적은 봄철에 8% 이상으로 크게 기여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유출량이 적은 기간에 크게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수문모형을 이용한 미래 수자원 관리 계획, 대책 수립 시 기여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공한다.
-
Uncertainty in projections of future runoff depending on hydrological model calibration data
-
Research Article / 우수학생논문상
-
Development of an XGBoost-based methodology for identifying replacement sites of river wetlands
대체습지 후보지 선정을 위한 XGBoost 모형 기반의 방법론 개발: 하천습지를 중심으로
-
Sung, JeemiㆍJun, ChanghyunㆍHwang, SeunghyunㆍKu, SeoyeongㆍBaik, Jongjin
성지미, 전창현, 황승현, 구서영, 백종진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placement alternative sites for river wetlands by developing a binary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XGBoost to support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하천습지 보전을 위해 XGBoost 기반 이진 분류 모형을 구축하여 하천습지의 잠재적인 대체 후보지를 도출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2017년에서 2022년의 기간에 …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placement alternative sites for river wetlands by developing a binary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XGBoost to support the efficient conservation of river wetlands. Remote sensing and reanalysis data from 2017 to 2022 were used as input, incorporating a total of 13 hydrometeorological, vegetation, and carbon-related variables to reflect the diverse ec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river wetlands. The trained model was applied to annual representative data derived by averaging monthly remote sensing and reanalysis datasets from January to December 2023, enabling the identification of areas that could potentially be designated as substitute wetlands. > Based on the trained XGBoost model, the mean values of monthly remote sensing and reanalysis data from January to December 2023 were applied. The model results indicated that 451,373 pixels, approximately 1.2% of the national territory, exhibited over 99% similarity to existing river wetlands. These areas are therefore considered to have potential for designation as replacement river wetlands. Among the model outputs, five locations not currently designated as river wetlands (near Yeoju, Seonsan-eup, Yongdam Lake, Soyang Lake, and Paro Lake) were randomly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In all five locations, essential wetland characteristics such as water bodies, geomorphology, and water sources were commonly observed. By utilizing remote sensing and reanalysis data, this study offers a data-driven approach that can serve as a preliminary step prior to traditional field-based survey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t identification of river wetlands and support a balanced approach between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하천습지 보전을 위해 XGBoost 기반 이진 분류 모형을 구축하여 하천습지의 잠재적인 대체 후보지를 도출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2017년에서 2022년의 기간에 해당하는 원격탐사 및 재분석자료를 입력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수문·기상, 식생, 탄소 관련 인자 총 13개를 활용하여 하천습지의 다양한 생태 환경적 특징을 고려하였다. 학습된 XGBoost 기반 모형에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월별 원격탐사 및 재분석자료를 평균한 연간 대표자료를 적용한 결과, 전국 면적의 약 1.2%에 해당하는 451,373개의 픽셀이 기존 하천습지와 99%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잠재적으로 하천습지의 대체습지로 지정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결과 중 하천습지로 지정되지 않은 5곳(여주, 선산읍, 용담호, 소양호, 파로호 부근)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습지의 기본 요건이 되는 수역, 지형, 수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격탐사 및 재분석자료를 활용한 본 연구는 기존 현장 중심의 습지 조사를 위한 사전 조사에 활용되어, 효율적인 하천습지 발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개발과 환경 보존 간의 균형 확립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Development of an XGBoost-based methodology for identifying replacement sites of river wetlands
-
Technical Note
-
Advances and future prospects of sand dam construction technologies for vulnerable water-supply regions
물공급 취약지역을 위한 샌드댐 건설기술의 발전과 미래 전망
-
Chung, Il-MoonㆍLee, JeongwooㆍKim, Il HwanㆍLee, Jeong Eun
정일문, 이정우, 김일환, 이정은
- Sand dams are receiving renewed attention as a sustainable water resource infrastructure solution in arid and semi-arid regions. In this study, we …
샌드댐은 건조 및 반건조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수자원 인프라 솔루션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케냐형 샌드댐, 한국형 우회형 다단 샌드댐(BMSD), 지하댐을 …
- Sand dams are receiving renewed attention as a sustainable water resource infrastructure solution in arid and semi-arid regions. In this study, we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development of sand dam construction technolog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aditional Kenyan-type sand dam, the Korean-type bypass multi-stage sand dam (BMSD), and the hybrid system linking the underground dam. In particular, it is very encouraging that the structure is evolving from a structure that simply retains floodwaters to a hybrid water management platform that increases the retention function by raising the water level through the underground dam, following the method of collecting the flow through the riverbed. Accordingly, we compared and analyzed three types of sand dams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al design, hydrological performance, and operation strategy, and also suggested a plan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sand dam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conclusion, sand dams are expected to be a highly efficient water management strategy technology that actively responds to climate crises in water-vulnerable regions.
- COLLAPSE
샌드댐은 건조 및 반건조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수자원 인프라 솔루션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케냐형 샌드댐, 한국형 우회형 다단 샌드댐(BMSD), 지하댐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여 샌드댐 건설 기술의 발전 과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홍수류를 단순 저류하는 구조물에서 하상을 통한 흐름을 모으는 방식에 이어 지하댐을 통한 수위상승으로 저류기능을 높이는 하이브리형 물관리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이에 구조 설계적 관점, 수문학적 성능, 운영 전략에서 세 가지 방식의 샌드댐을 비교 분석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샌드댐의 복원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샌드댐은 물공급 취약지역에서 기후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고효율 물관리 전략 기술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Advances and future prospects of sand dam construction technologies for vulnerable water-supply regions